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시사·상식11

NFT 개념 - 쉬운 설명 어렸을 때 할아버지와 엄마가 버스 탈 때 사용하시던 토큰을 본 기억이 난다. 작고 동그란 모양에 가운데 구멍이 뚫려 있어 엽전과 비슷한 모양이었다. 현금을 내고, 토큰으로 바꾸면 버스를 탈 수 있었다. 누구나 알아볼 수 있고, 위조가 불가능하도록 일정한 형태가 만들어져야만 서비스의 대가로서 통용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블록체인 생태계에서 두 사람 사이에 디지털 방식으로 양도가 가능한 자산을 토큰이라고 한다. 각 할당된 속성에 따라 분류 및 용도가 다르다. NFT는 ‘Non-Fungible Token, 대체 불가능한 토큰’을 의미한다. Fungible Token의 개념을 예로 들면, 내가 갖고 있는 1달러는 다른 사람의 1달러의 가치가 같아 교환이 가능하다. 내가 갖고 있는 비트코인 1개와 다른 사람이 .. 2021. 12. 4.
[물류기술] 증강 인공지능, 디지털 트윈 등 [물류기술] 증강 인공지능 (Artificial and Augmented Intelligence) 지난 몇 년 동안 물류 산업은 지능형 교통, 경로 계획, 수요 계획을 포함한 인공지능 솔루션을 운영에 통합하기 시작했지만 이것은 시작에 불과하다. 라스트 마일 배달 로봇과 지속 가능성 솔루션에서부터 자동 선택 시스템과 예측 최적화 소프트웨어에 이르기까지, AI는 이미 물류 분야에서 큰 차이를 만들어내고 있다. 2021년에도 계속되는 이런 물류 기술 동향으로 선주, 운송업체, 공급업체, 소비자 모두 수혜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AI와 함께 증강지능도 급증할 전망이다. 증강 지능은 인공지능 자동화 프로세스와 인간의 지능을 결합한다. 예를 들어 물류기획에서 증강지능은 인간플래너(경험, 책임, 고객서비스, 유연.. 2021. 11. 22.
러시아의 동방정책 ▲ 제3차 동방경제포럼에 참석한 문재인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6일 오후(현지시간) 블라디보스톡 국제 극동연방대학교에서 양국 단독 정상회담에 앞서 악수하고 있다. Ⅰ. 과거 러시아의 동방정책 소련의 붕괴로 상당수의 나라가 독립했음에도 불구하고 러시아가 여전히 1위를 고수할 수 있는 까닭은 바로 ‘시베리아’라는 거대한 땅을 소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1582년 예르막(Yermak)이 이끄는 800여명의 코사크인이 우랄산맥 부근을 흐르는 시비르(Sibir)강을 건너 시베리아 진출의 길을 열어젖힌 사건은 러시아 역사상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오랜 동안 몽골의 지배를 받던 러시아가 드디어 ‘타타르의 멍에’를 벗어던지고 본격적인 ‘동방 진출’을 시작했음을 알리는 상징적 사건이기.. 2021. 11. 21.
[현황 분석 및 전망] 80년생 기업 임원이 온다 [현황 분석 및 전망] 80년생 기업 임원이 온다 1. 현황 ‧ 2021년 국내 매출액 상위 100대 기업의 80년대생 임원 현황 조사 결과, 1980년 이후 출생한 임원은 현재 64명이다(2021년도 3분기 사업보고서 기준). 국내 100대 기업 임원 중 80년대생 임원 비율은 2018년 0.2%, 2019년 0.7%, 2021년 0.9%로 증가 추세다. ‧ 국내 시가총액 50위 내 기업의 2021년도 3분기 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1980년대 임원은 1년새 61%(31명→50명)로 증가했다. ‧ KAIST, MIT 등 국내외 대학 출신 연구개발자들이 임원으로 발탁되고 있으며, 해외에서 다양한 경험을 쌓은 유학파들의 약진도 눈에 띈다. 2. 등장배경 ‧ 코로나19 발생 이후 급변하는 산업 생태계에 맞춰.. 2021. 11. 20.
반응형